콘텐츠 바로가기

계양문화원

본문 컨텐츠

문화와 역사

  1. 문화와 역사

지명

지명의 유래

효성동 (曉星洞)
효성동 지역은 원래 급수원이 없어 황무지 벌판에 억새풀이 많이 자생한「새벌」,「새벌이」로 불려왔으나 발음이 와전되어「새별」,「샛별」로 변해 한자표기 하면서 효성동 지역은 부평군 마장면 효성리였으나, 1914년 부천군 부내면에 편입되었고 1940년 인천부로 다시 편입되어 서정으로 개칭되었다가 1946년 효성동으로 다시 개칭되었다.
계산동 (桂山洞)
계산동 지역은 삼국시대에는 주부토군, 통일신라시대에는 장제군. 고려시대에는 수주, 안남, 계양, 길주, 부평군으로 불려진 유서깊은 고장이다. 이곳은 원래 부평읍이었으나, 1914년 부천군 부내면으로 개칭되었고, 1940년 인천부로 다시 편입된 후 대정정(大正町)으로 개칭되었다가 1946년 계양산 밑에 위치하였다 하여 계산동으로 개칭되었다. 이곳에는 계양산에 있는 중심 성지(衆心城地)를 비롯하여 계양산성, 부평도호부청사, 어사대, 욕은지 등 많은 문화유적지가 있다.
작전동 (鵲田洞)
작전동(鵲田洞) 지역(地域)은 구한말 화전리, 신대리, 가현리, 작정리의 4개리로 1914년 부천군 부내면에 편입(編入)되었고, 1940년 인천으로 다시 편입되어 화전, 신대, 가현, 작정 4개리를 통합하여 가장 큰 마을인 작정과 화전에서 한 글자씩을 따서 작전정(鵲田町)으로 개칭되었다가 1946년 작전동(鵲田洞)으로 개칭(改稱)되었다. 작전동 지역에는「된밭」,「새대」「까치말」등의 자연부락이 있다.
서운동 (瑞雲洞)
서운동(瑞雲洞) 지역(地域)은 원래 부평군 서면에 속하였으나, 1914년 부천군 부내면에 편입되었고 1940년 다시 인천부에 편입되며 도두리와 하마리를 통합하여 동운정(東雲町)이 되었고 1946년 상서로운 고장이 되어 주기를 기원하는 뜻에서 서운동(瑞雲洞)으로 개칭(改稱)되었다.
계양동 (桂陽洞)
계양이란 명칭은 고려시대 계양도호부에서 유래를 찾을 수 있다. 계양산은 수주악, 안남산으로 불려왔으며 계수나무와 회양목이 많이 자생하여 두나무 이름에서 한글자씩 따서 계양산으로 불려지게 되었다. 계양동 지역은 1914년 임학리, 용종리, 병방리, 박촌리, 동양리, 귤현리, 상야리, 하야리, 평리 등을 통합하여 부천군 계양면에 편입되었고 1973년 경기도 김포군에 편입되었다가 1989년 1월 1일 인천시로 편입된 지역으로 현재 계양구 면적의 약 67%를 차지하는 광활한 면적에 19개의 법정동으로 구성된 거대동으로 향후 계양구 발전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기대되는 지역이다.
임학동 (林鶴洞)
낙락장송 큰 나무가 많아 경치가 아름답고 백로가 많이 서식하였다 하여 유래된 지명
용종동 (龍宗洞)
계양산 줄기가 임학골 서쪽을 감싸고 길게 흘러내려 그 형국이 용의 등과 같다하여 유래된 지명
병방동 (兵房洞)
조선시대(1455년) 이곳에 중익진(中翼陣)을 설치하여 병영이 주둔하면서 유래된 지명
방축동 (防築洞)
마을앞에 방죽을 막아 방죽말이라 불리며 유래된 지명.
장기동 (場基洞)
우시장(매월 3, 8, 13, 18, 23, 28)이 열려 황어장터, 황어장이라 불리며 장이 서는 곳이라 하여 유래된 지명
갈현동 (葛峴洞)
칡이 많이 생산되는 마을이라 하여 칡미, 갈산(葛山)으로 불려왔으나 1989년 인천으로 편입될 때 부평구 갈산동과 중복되어 갈현동으로 개칭
오류동 (梧柳洞)
오리나무와 버드나무가 많이 자생하여 유래된 지명으로 오리울, 오릿골, 오류올, 오류동으로 불리어 옴
둑실동
조선시대(1596년) 부평도호부사 심신겸이 퇴임 후 원래 청백한 분이라 가진 재산도 없이 이곳 황무지에 낙향하여 뜻을 같이하는 사람들과 개간을 하는데 합동단결 하자는 깃발을 만들어 꽂고 농경에 힘써 마을 이름도 그 뜻을 담아 둑실이라 하였다하여 유래된 지명
목상동 (木上洞)
계양산 깊숙한 곳에 위치하여 수풀이 울창하고 일조량이 적어 나무에 서리가 걷힐 사이가 없어 나무와 서리의 마을이라 하여 유래된 지명
다남동 (多男洞)
여자보다 남자가 많아 다랑(多郞)이라 불리며 유래된 지명
선주지동 (仙住地洞)
큰 홍수가 나서 이재민을 구하기 위하여 배가 머물렀다하여 선주(船駐)라 불리며 유래된 지명
이화동 (梨花洞)
한강으로 통하는 배가 드나드는 곳이라 배곶이, 배꼬지, 선곶(船串)이라 불리다 한자표기를 잘못하여 배(梨), 꽃(花)으로 불리며 유래된 지명
상야동 (上野洞)
벌판에 마을이 위, 아래로 있어 위쪽 마을을 윗벌말 또는 상야촌으로 불리다 유래된 지명
하야동 (下野洞)
벌판에 마을이 위, 아래로 있어 아래 마을을 아랫벌말 또는 하야촌으로 불리다 유래된 지명
평동
벌판이 많은 마을이라 하여 벌말로 불려왔으며 일제시대 평뜨기(수확량측정)를 많이 하였다하여 유래된 지명
귤현동 (橘峴洞)
굴재고개 아래 위치하여 굴재, 굴현으로 불리다 유래된 지명
동양동 (東陽洞)
계양지역의 동쪽에 위치하였고 1914년 당미, 양지말, 모텡이, 동녘해, 서녘해를 통합하여 동녘해와 양지말의 이름을 따서 유래된 지명
박촌동 (朴村洞)
박씨(朴氏) 집성촌으로 조선조 중기까지 300호 이상의 박씨가 모여산 부평 제1의 집성촌에서 유래된 지명
노오지동 (老吾地洞)
큰 연못에 오래 묵은 잉어가 있어 노어지(老魚池)라 불려지다 유래된 지명